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테리어디자인996

모던 빈티지를 꿈꾸는 모든 이들에게 모던 빈티지를 꿈꾸는 모든 이들에게… 가을 집 꾸밈 아이디어, 상업 공간에서 훔쳐라! - PAPER GARDEN 페이퍼 가든은 전 세계를 돌며 컬렉션한 진귀한 빈티지풍의 가구와 소품들로 가득한데, 단순히 가구와 소품을 나열하는 것이 아닌 제품끼리의 매치 데커레이션을 통해 모던 빈티지를 실현하고 있다. 화이트 컬러의 군더더기 없는 모던한 공간을 배경 삼아 손때 묻은 가구와 소품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것. 예를 들면 화이트 벽을 배경으로 각기 다른 디자인의 의자들을 도미노처럼 나열하거나 모던한 가구의 서랍이나 문을 열어 놓고 빈티지한 소품을 진열하는 등의 방법들 말이다. 작은 것도 소홀히 하지 않고 기둥이나 계단에까지 멋을 더하는 아날로그적인 감성을 깨워 주는 요소를 원한다면 페이퍼 가든이 어울린다. 칠이.. 2007. 9. 4.
친환경 가족공간 우리 집에 따라 하기 쉬운 친환경 인테리어 제안 - 가족 공간 옹기 화분으로 바꾸자 어느 집이나 공기 정화나 전자파 차단 효과가 있다는 식물이 한두 개 있더군요. 그런데 정작 화분에는 무신경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친환경 생활을 위한다면 플라스틱 화분 대신 옹기를 선택해야 하지요. 천연 재료로 만든 유약을 칠해서 만든 옹기를 화분으로 사용하면 건강한 생활에 한걸음 가까워질 수 있어요. 도자기 중에서도 유독 광택이 심하거나 화려한 것은 납 성분이 든 유약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크니까 조심하세요. 친환경 목욕 용품을 찾자 오롯이 혼자 즐기는 바스 타임을 최고의 스트레스 해소법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많아요. 그런데 욕실 안에 건강을 위협하는 용품이 많다는 걸 알고 있나요? 자연 성분으로 만든 세제로 바꾸고, 해면 .. 2007. 9. 4.
밀라노로부터의 발신Vol.4 기품이 있는 존재감 밀라노로부터의 발신Vol.4 기품이 있는 존재감 2007 미라노사로네의 「Flexform 플렉스 폼」의 부스로부터.상질의 소재를 사용해, 품위있는 화이트를 축으로 쉬운 베이지로 코디네이터 되고 있었습니다. <Material 매테리얼/소재>미라노사로네에서는, 매년 다양한 새로운 디자인 트랜드가 각 브랜드로부터 발신됩니다.그 중에서, 인테리어 스타일, 포름, 색채, 매테리얼등을, 대기업의 인테리어 숍의 디렉션이나 트랜드 북의 편집에 종사하고 있는 「SENSIBILIA (센시비리아)」의 시노자키 쿄코씨가 금년의 인테리어 트랜드를 분석한다4 번째의 기사는 매테리얼에 대해입니다. =INDEX= ■Style (스타일/유행) ■Form (포름/모습) ■Color (칼라/색) ■Material (매테리얼/소재) Sup.. 2007. 9. 4.
즐거운 벽지 놀이 초록이나 파랑을 사용한 벽지로 밝고 상쾌한 인테리어에.(화상:도미타※마르브르그사 이미지 사진) 즐거운 벽지 놀이 자택의 벽지는 어떤 벽지를 사용되고 있습니까.흰색을 중심으로 한 무지나 심플한 디자인의 벽지가 많은 일본의 주택입니다만, 해외의 주택에서는, 색이나 모양이 붙은 벽지를 사용해 멋지게 인테리어 코디네이터를 하고 있는 것을 보는군요. 최근에는, 인테리어 잡지나, 패션 잡지에서도 세련된 벽지를 능숙하게 사용해 코디네이터 한 공간을 잘 볼 수있게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색이나 모양의 벽지에 도전해 보고 싶지만, 실제로 사용하는 것은 조금 용기가 있어요∼」라고 생각도 계(오)시는 것은.그런 분에게 추천의 벽지의 사용법을 소개합시다. 벽의 일부 값어치 엑센트에 흰색과 블루의 벽지를 보더를 사용해 붙여 .. 2007. 9. 4.
페르가모, 질센터 in NY 페르가모, 질센터 in NY 뉴욕거리를 더욱 빛나게하는 명품 매장들.. 페르가모와 질센더~ 깔끔한 인테리어에 멋진 상품들의 디스플레이로 뉴요커와 관광객들을 유혹한다! 사진출처 [ 아이하우스(iehouse) ] 2007. 9. 4.
Chloe 매장 in New york!! Chloe 매장 in New york!! 뉴욕의 Madison Avenue 자리잡고 있는 고급스러운 Chloe 매장~! 력셔리한 매장 인테리어가 돋보이며 많은 뉴요커들에게 사랑받고 있는 브랜드 중 하나! 사진출처 [ 아이하우스(iehouse) ] 2007. 9.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