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대분류4168

클래식 애완동물 소파 애견이나 고양이를 위한 소파! 클래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애완동물 소파. 푹신푹신한 매트는 커버 분리하여 세탁할 수 있음.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접어서 보관 가능.. 사이즈 : 52x38.5x30.5cm 소재/재질/세탁방법 : 철재, 폴리우레탄, (커버) 면 30%, 폴리에스터 70%-미지근한 물 손세탁 제조사 : 두산OTTO =>쇼핑팁! 애견이나 고양이를 위한 소파! 2008. 1. 9.
포토]이색적인 현관 인테리어모음 서울전문학교 2008. 1. 9.
집안에 돌아다니는 열쇠와 우편물을 하나로 정리할 수 있는 제품 이젠 외출 시마다 허둥대지 마세요! 열쇠와 메일 정리가 하나로! slide entry caddy 브랜드 : Chiasso 사이즈 : 가로 약 20 cm * 세로 약 20 cm 소재 : stainless steel 원산지 : 미국 벤더 사이트 내 제조국 미표기 ■ 상세설명 집안에 돌아다니는 열쇠와 우편물을 하나로 정리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제품 상단의 홈에 열쇠를 걸어놓으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디자인 되었습니다. 키 홀더와 함께 하단은 선반 형태로 되어있어 우편물을 놓아두기에 좋습니다 . 현관에 놓고 사용하시면 편리한 아이템입니다. 독일에서 디자인 된 제품입니다.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모던하고 심플한 이미지를 전해줍니다 => 쇼핑팁! Chiasso 예쁜 인테리어소품들! 2008. 1. 8.
삼성전자 전면 슬라이딩 냉방의 하우젠 에어컨 ‘바람의 여신Ⅱ’ 출시 삼성전자는 7일 전면 슬라이딩 냉방의 하우젠 에어컨 '바람의 여신Ⅱ'를 비롯해 스탠드형 24종, 벽걸이형 25종 등 총 49종의 2008년형 에어컨 신제품을 출시하고 오는 14일부터 3월 31일까지 에어컨 예약판매를 실시한다. 2008년형 하우젠 에어컨 '바람의 여신Ⅱ'의 가장 큰 특징은 전면 슬라이딩 냉방을 채택해 더욱 강력해진 냉방능력과 '무드라이팅'을 적용한 인테리어 오브제 개념의 고급스러운 디자인이다. □ "통째로 열어" 더욱 시원해진 전면 슬라이딩 냉방 삼성전자의 2008년형 하우젠 에어컨 '바람의 여신Ⅱ'는 전면 패널이 앞뒤로 전진 개폐돼 상부와 좌우 3면에서 바람을 내뿜는 전면 슬라이딩 냉방 방식을 업계 최초로 채택했다. 전면 슬라이딩 냉방은 특수 설계된 'U커브 곡면'을 통해 상부와 좌우 .. 2008. 1. 8.
소비자 가전 전시회의 새로운 트렌드 ‘환경친화’ 추구 매해마다 새로운 휴대전화를 구입하도록 소비자들을 유혹하고, 오래된 TV를 멋진 새 평면패널로 교체하도록 부추겨왔던 가전업계가 이제는 환경보호에도 앞장서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CES 2008에서 가전 제조업체들은 메가픽셀, 메가헤르츠, 메가바이츠에만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전기를 적게 쓰는 스마트 파워 어댑터와 재활용이 쉬운 배터리, 식물로 만들어진 부품 등도 소개할 예정이다. 이제 가전업계도 ‘녹색’ 환경이 막강한 마케팅 무기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 것이다. 이번 CES 2008에 참가하는 2천 7백여 업체 중에 일본의 후지츠(Fujitsu)는 노트북 케이스가 석유가 아닌 옥수수로 만들어진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2006년부터 일본에서 이러한 제품을 판매해왔던 후지츠는 앞으로 북미 지역으.. 2008. 1. 8.
기타]사용되지 않는 가전제품의 전원을 꺼주는 새로운 플러그 개발 중 에섹스 대학의 연구진들은 최근 똑똑한 플러그를 개발 중이다. 이 플러그는 TV와 스탠드 등의 전기 기구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그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다. 이러한 시스템을 사용하면 가정의 전기요금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의 플러그와 모양이 똑같은 이 제품은 통합된 모션 센서를 사용하여 방 안에 아무도 없을 때 이를 중앙 통제기에 알려 TV 등과 같은 가전제품의 전원을 차단한다. 이 시스템은 빈 방에 전원이 켜진 채 남아있는 기기의 전원을 꺼준다. 연구진들은 이 플러그가 수 년 내에 모든 가전 기기에 표준으로 채택, 사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플러그는 전기 절약을 실천하도록 해주는 친환경 제품으로 환경 관련 재단에서 9만 달러의 지원을 받아 개발 중이다. 연구진.. 2008. 1.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