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을 하면서 주방가구 분야에서 생긴 개인만의 철학이 있다면? 저는 실용성과 기능성을 중요하게 생각해요. 주방은 매일 들어가서 생활하는 공간이기 때문이죠. 무조건 비싼 가구 보다는, 편하고 저렴하면서도 실용적으로 쓸 수 있는 것이 가장 좋고 거기다가 예쁘면 그것보다 더 좋은 것은 없다고 생각해요. 몇몇 고객들 중에는 주방가구가 편한 것 보다는 보기 좋아야 하고, 사람들에게 많이 보이는 부분은 비싸게 보이도록 해달라고 요구하는 분들이 계세요. 사람마다 생각이 다르기 때문에 그렇지만, 그런 분들을 보면 마음이 아프죠. ![]() 팀장님 집의 부엌은 어떤가요. 지금은 부모님과 함께 살고 있기 때문에 제집이라고 할 수는 없어요. 그래서 제가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건 없고요. 단지 좋은 거라고 한다면, 저희 집은 아파트인데요. 흔히 입주를 하면 주방 같은 경우는 아파트에서 주는 대로 써야 하잖아요. ![]() 그런데 저희가 입주했던 아파트에 제가 아는 업체가 공사를 하게 되어서, A/S를 신청하면 대부분 오래 걸리는데 바로 바로 시정이 되고 그랬어요. 특별한 건 없어요~ 일반적이에요. ![]() 주방가구 디자이너가 되기 위해 이 분야는 대학교에서 디자인을 전공한 사람들이 대부분이에요. 가구디자인이나 실내디자인을 전공한다면 더 많은 공부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시너지효과를 볼 수 있죠. 하지만 비전공자라고 해도 이쪽 분야에 관심과 감각을 갖고 노력을 한다면 가능하다고 봐요. ![]() 일단 기본적으로 캐드, 맥스, 포토샵, 일러스트 등 프로그램을 다루는 공부가 필요해요. 이것은 주방가구 회사뿐만 아니라 어느 디자인 회사들이 요구하고 있는 능력이죠. 그리고 디자인 감각을 기르는 경험과 영어는 필수겠죠! ![]() 주방가구 디자이너를 꿈꾸는 영삼성 회원들에게. 시간이나 돈을 낭비하지 말고, 자기에게 투자를 하세요. 저 같은 경우는 돈을 들여서라도 우리나라에서 인테리어가 가장 잘 되어있는 음식점이나 카페에 꼭 가 봐요. 맛있는 것도 먹고 인테리어도 보는 거죠. ![]() 그래서 서울 안에 있는 호텔은 안 가본 곳이 없어요. 대학생 때는 가난했기 때문에 친한 친구들과 2만원~3만원씩 적금을 모아 한 달에 한 번씩 평소에 가고 싶은 곳을 찾아놓고 가기도 했어요. 이런 곳에 찾아 다니다 보면 요즘 유행하는 인테리어의 트렌드를 파악 할 수도 있고, 보는 눈을 높일 수 있어요. 인터뷰에 적극 협조해 주신 ㈜리빙지코 지메틱 디자인실 김선영 과장님께 감사 드립니다. ^^
|
출처<영삼성>
'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롯본기에 위치한 [ 도쿄 미드타운 (Tokyo Midtown) (0) | 2007.10.02 |
---|---|
- ‘대한민국 에너지대전’서 신재생 에너지•고효율 기술력 과시 (0) | 2007.10.02 |
세트스타일리스트 심필영님과의 인터뷰 (0) | 2007.10.02 |
뉴욕, 아담 쿠스너의 듀플렉스 (0) | 2007.10.02 |
[일본-나고야] 290m 지하도(地下道), 환경아트로 자연을 담다 (0) | 2007.10.02 |